산업 - Industry

반도체 시장 공부하기 1 - Value Chain에 따른 기업 분류

TUSE 2020. 11. 3. 04:14

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항상 주식 시장에서 핫한 종목들입니다.

당장 우리나라만 해도,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라는 거대 기업과 그 외 다양한 기업들이 반도체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죠. 최근 Intel의 NAND Flash 사업 부문을 SK하이닉스에서 인수하기로 하여 이슈가 되기도 하였는데요, 구체적으로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여 스터디할 겸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

먼저 반도체산업의 전체 Value Chain에 따라 각 Value Chain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맡느냐에 따라 기업들을 분류해볼 수도 있습니다.

반도체산업의 Value Chain은 크게 아래와 같이 4개의 부분으로 나뉩니다.

 

설계 >> 웨이퍼 생산 >> 패키징 및 테스트 >> 판매 및 유통

 

이를 기준으로 각 Player들은 크게 아래의 항목으로 구분됩니다.

 

1.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(IDM)(종합반도체회사)

위 Value Chain의 전체를 스스로 소화하는 회사들입니다. 거대한 규모를 바탕으로 기술력과 규모의 경제 및 내부화를 통한 원가 절감 등을 무기로 경쟁력을 확보합니다.

주요 Player는 아래와 같습니다. (괄호안은 주요 제품) (저도 rough하게 알아본 것이니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)

- 삼성전자 (DRAM, NAND Flash) *파운드리 사업부 제외

- SK Hynix (DRAM, NAND Flash)

- Texas Instruments (Embedded processors, DLP)

- Micron Technology Inc. (NAND Flash)

- Sony (이미지센서)

 

2. Fabless

팹리스 기업들은 위의 Value Chain에서 설계만을 담당합니다. 생산 이후의 과정은 주로 외주를 주어 해결합니다. 참고로 Fab은 Fabrication Facility, 즉 생산 설비를 의미하며, Fabless는 곧 설비가 없는 기업이란 뜻이죠. 아무래도 생산설비 투자가 거대 자본을 필요로 하다 보니 이를 회피하기 위한 사업 모델로 볼 수 있습니다.

주요 Player는 아래와 같습니다.

- Qualcomm (AP)

- Nvidia (GPU)

- AMD (GPU)

- Apple (AP)

 

3. Chipless(IP)

IP 기업 또한 설계를 담당하지만 팹리스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 팹리스는 추후 생산을 할 수 있는 설계를 하는 기업이라면, IP 기업들은 설계 기술의 R&D를 담당하고 이러한 원천 기술을 팹리스나 IDM기업에 제공하고 로열티수익을 창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ARM Holdings의 기술을 기반으로 삼성의 엑시노스나 애플의 AP칩들의 설계가 완성되는 것이죠.

주요 Player는 다음과 같습니다.

- ARM Holdings(비상장, 현재 소프트뱅크에서 Nvidia로 인수 진행 중)

- Rambus

 

4. Foundry(파운드리)

파운드리 기업들은 직접 설계를 담당하지는 않고, 팹리스 기업이 설계한 뒤 위탁한 제품을 생산하는 부분을 맡고 있습니다.

주요 Player는 다음과 같습니다.

- TSMC

-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

- UMC

- SIMC

- DB하이텍 (8인치 웨이퍼)